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120화

 

한결같다 그 동네 – 충남 홍성

 

5대를 잇는 장인 정신 전통 옹기 

5대째 이어온 장인정신으로 빚는 전통 옹기

옹기마을로 불린 갈산면

방춘웅 옹기장

 

갈산토기

041-633-1711

충남 홍성군 갈산면 갈산서길475번길 128

지번 동성리 110-19

 

홈페이지 galsantogi.com

 

 

 

제 2의 인생을 사는 식초 모자

현미 흑초

 

인양양초장

070-4122-4795

충남 홍성군 구항면 충서로945번길 31-18

지번 청광리 산89-5

 

구입처 쇼핑몰 홈페이지

inyangyangchojang.modoo.at/?link=3yotoxpv

 

 

 

 

홍성전통시장의 명물

기름을 쏙 뺀 50년 전통 호떡 

노부부 호떡

 

홍성호떡 

충남 홍성군 홍성읍 홍성천길 242

지번 대교리 400-1

 

08:00 - 19:00 매달 홍성장날(1,6,11,16,21,26)

일요일 휴무 일요일 휴무

 

3,000원

호떡 3개

3,000원

찐빵 6개

3,000원

야채만두 6개

3,000원

김치만두 6개

 

(상호,정보 ,위치,전화번호,방송,tv,오늘

주소,가게 ,어디 ,연락처,촬영지,장소,맛집)

 

 

□ 이응노의 집

041-630-9232

장소: 충남 홍성군 홍북읍 이응노로 61-7

 

 

□ 홍주읍성

장소: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412-6

 

 

홍성 오일장의 봄루 100년 대장간

□홍성대장간

041-632-3272

장소: 충남 홍성군 홍성읍 의사로49번길 28

 

 

@ 개인적으로 작성된 글이며

언급된 인물 업체 제품 방송 등과 관련이 없습니다

 

@ 메뉴 가격 영업 시간 등의 정보는

변동 될 수 있습니다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백스무 번째 여정은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1,000년의 역사를 가진

홍성군,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4대 고을 중

하나였던 유서깊은 동네이다

아름다운 삽교천이 흐르는 봄날의 홍성에는

3대째 이어오는 대장간과

한국 미술사의 자랑인 고암 이응노 화백의 생가터,

풍경처럼 살아가는 장곡면 오지마을노부부의

인생 등, 오래 돼서 아름답고 변치 않아

향기로운 동네로 떠나본다

 

▶ 천년의 역사를 품은 홍주읍성

천년의 시간 동안 홍성을 지켜온 홍주읍성,

읍성을 둘러싼 성곽의 본래 길이는

1,772m였지만 일본에 의해 800m가량만

남아있는 상태다. 홍주읍성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남문인 홍화문을 바라보는 배우 김영철의

마음이 경건해진다. 지나온 세월과 역사를

고스란히 품고 있는 홍주읍성의 성곽길을

걸으며 홍성에서의 동네 한 바퀴를 시작한다.

 

 

▶ 5대째 이어온 장인정신으로 빚는 전통 옹기

예전부터 옹기마을로 불린 갈산면은 뱃길로

통하는 교통망과 땔감으로 쓸 목재가

풍부했으며, 점토가 좋아 옹기를 만드는데

최적의 환경이었다. 그러나 옹기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서 많은 옹기장이들이 마을을

떠났지만 척박한 여건 속에서도 5대째 옹골차게

옹기의 전통을 이어 온 사람들이 있으니 바로

방춘웅 옹기장과 전수자인 그의 아들이다.

생활고와 두 번의 화재로 겪은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니지만 고집스런 장인정신으로

옹기의 맥을 이어가는 방춘옹 옹기장의

가마는 오늘도 뜨겁게 타오른다

 

 

 

 

▶ 홍성전통시장의 명물

‘백 년 대장간과 노부부 호떡’

 

70년의 역사를 가진 홍성전통시장에는

풀빵 기계로 호떡을 굽는 노부부가 있다.

이곳에서만 맛볼 수 있다는 귀한 호떡은

기름에 튀기지 않고 쇠틀에 구워내서 겉은

바삭하고 안에는 부드러우면서 촉촉한 식감이

일품이라는데... 백발의 할아버지가 호떡을 굽는

정겨운 모습은 먹지 않아도 배를 부르게 하고,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한 자리를 지켜온

대장간의 뜨거운 열기는 농민들의 농기구를

마련해주고 싶다는 대장장이의

열정 덕분에 식지 않는다.

 

▶ 고암 이응노 화백의 생가터

1904년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1989년 파리에서

생을 마칠 때까지 온 삶을 그림으로 채운

예술가 고암 이응노 화백. 유럽 예술 무대에서

동양 정신으로 높이 인정받았고, 한국에

돌아올 수 없었고 그의 활동은 한국에서

언급할 수도 없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자신이 한국 사람, 홍성 사람임을 잊지 않은

그의 예술세계를 접한다.

 

▶ 식초로 제2의 인생을 걷는 모자(母子)

대기업에서 일본 급식문화와 기술을 습득하는

업무를 도맡았다는 정재춘 씨는 일제 강점기 때

사라진 우리 식초의 명맥을 살리기 위해 귀농을

결심하고, 팔순의 어머니는 그런 아들이

걱정되어 귀농을 결심한다

식초가 만들어지는 3년 동안 쉬지 않고 저으며

매일 정성을 쏟는 아들과 자식이 꽃길만 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매일 길가에 꽃을 심는

어머니의 모습이 보기만 해도 흐뭇해진다

 

▶ 소는 내 운명

15살부터 소로 농사를 지으며, 친환경을 위해

트랙터나 기계 대신 오직 소로만 농사를 짓는

함동식 어르신. 15년 동안 같이 일한 일소를

떠나보내고 지금은 후계소를 훈련하는

중이라는데... 눈매, 발톱, 등판 등 까다로운

조건과 20대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후계소 안순이는 내년 농사를 위해 오늘도

모전마을 논, 밭에서 열심히 훈련 중이다

 

▶ 어머니가 준 봄날의 선물 ‘무릇’

홍동면 가시덤불이 많은 산길에서 이름도,

생김새도 생소한 무릇을 깨는 김향순 씨. 봄날이

되면 어린 시절 어머니와 함께 무릇을 캤던

기억으로 64세인 지금까지도 무릇을 캐러

다닌다. 그러나 무릇은 캐는 법도, 손질하는

법도, 가마솥에 끓이는 것도 인내심 없이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지만 그녀는 가시덤불을

헤치며 갈 수밖에 없다는데...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

 

▶ 천생연분 노부부의 행복 방정식

예전부터 머위가 많이 자라서 살림에 큰 보탬이

되었다는 신풍리 마을. 그 마을에는 옛날 집

그대로 사는 92세 할아버지와 83세 할머니가

있다. 결혼 당시 직접 지었다는 집은 지금도

손수 기둥 수리를 할 만큼 집에 대한 애정이

크다는데... 할아버지는 나무를 패서

지게질하시고, 할머니는 머위를 캐며 일하는

것이 행복하고 자식들도 건강하게 컸으니

소원이 없다는 할머니는 앞으로도 할아버지와

함께 정든 이 집에서 편안하게 살아갈 것이라 한다.

 

천 개의 시간이 모여 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동네,

그 세월을 한결같이 살아내는 충청남도 홍성의

이야기는 오는 5월 1일 토요일 저녁 7시 10분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제120화. 한결같다

그 동네 – 충남 홍성] 편에서 공개된다.

 

방송일시 2021년 5월 1일 19:10

 

[출처] kbs , 네이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