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통영에서 진주까지

 이순신로드를 가다  

조선 수군 봄 식량 숭어 

너물비빔밥 미늘마을 

꿀로 만든 통영약과 유과 

백의종군 밥상 연포국 감자 보리밥

 진주 원계마을  



한국인의 밥상 365회 미리보기 


통영에서 진주까지 이순신로드를 가다

  

임진왜란 당시, 백척간두에 선 나라를 구한 불멸의

 영웅 이순신. 그가 남긴 난중일기에는 이순신의

 파란만장한 삶과 함께 다양한 먹을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장군은 청어, 숭어, 꿀, 유자 등 철철이 

다양한 식재료를 써 놓았는데, 이번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400년 전 그의 밥상에 오른 식재료들을

 공개한다. 이순신 장군이 승리를 위해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통영에서부터 백의종군하며 새롭게 

전열을 다지던 진주까지, 그 길을 따라가며 그와 

그의 수군들이 먹었을 음식들을 찾아내고, 기록에 

남은 음식이 지금까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통영 토속음식인 너물 비빔밥과 백의종군

 시절에 먹었던 연포국, 감자보리밥 등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이다.


이순신 장군과 조선 수군의 반가운 봄 식량, 숭어!


이순신 장군과 그가 이끄는 수군들은 무엇을 먹으며

 전투에 임했을까? 임진왜란 당시 수군은 

조정으로부터 군량미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직접

 조달해야 했다. 때문에 기록에는 “고기를 잡아 

군량을 산다.”라고 적혀있다. 수군의 총수였던 

이순신 장군은 수군들의 식량을 구하기 위해 

고심하였는데, 그 고민의 흔적이 난중일기에도 

기록돼 있을 정도다. 


보리 고개를 넘어야 할 봄철, 굶주린 군병들의 배를

 두둑이 채워준 반가운 고기는 다름 아닌 숭어. 

임진왜란 당시, 2천여마리의 숭어를 잡았다는 기록이

 난중일기에 나와 있다. 봄보리 필 때 제일 맛이 

좋아 보리 숭어라는 별명까지 붙은 숭어는 회도

 회지만 구이가 제 맛이다. 굵은 소금 뿌려 바짝 

굽기만 하면 그 맛이 일품인데, 아마 이 곳, 바다

 길목을 지키던 수군들 역시 이렇게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400년이 지난 지금 이순신 장군과 

수군들의 허기진 배를 채워주던 전투식량은

 뱃사람들의 반가운 손님이 되어있다고 하니, 봄이

 오는 길목, 이순신의 도시 통영의 숭어를 만나보자. 



전라·경상·충청 3도의 문화가 섞인 음식,

 통영 너물비빔밥!


삼도수군통제영은 전라·경상·충청 삼도의 수군을

 총 진두지휘하던 해군본부이며, 전라좌수사였던 

이순신이 초대 통제사로 활동하던 근거지다. 삼도의

 해군과 고관대작들이 이곳에 주둔하면서 통영은 

삼도의 특징이 섞인 음식 문화가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통영만의 독특한 음식은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어 먹었을까?


통영 남쪽 바다 끝, 아랫 미늘 마을이란 옛 이름을

 가진 선촌. 미늘 마을 언덕 위, 잘 지어진

 기와집에서 만난 지욱철 어촌계장님. 이 집에서 

통영만의 독특한 음식을 엿보게 된다. 생일이나 명절,

 잔치 때 특별히 해 먹던 통영의 토속 음식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밭작물부터 바다풀까지 열 가지가 넘는

 채소를 손질해야 맛 볼 수 있는 통영 너물 

비빔밥이다. 독특한 점은 밥에 조갯국을 흥건히 

말아먹는 것이며, 대개는 고추장을 넣지 않고 비벼

 먹는다. 삼도의 문화가 섞인 통영에서 맛보는 

너물비빔밥의 풍미를 미늘마을 밥상에서 만나보자.



제사상에 올릴 만큼 귀했던 꿀로 만든 다과 한 상


임진왜란 중, 조선수군 사이에 역병이 돌았다. 수군

 1만 7천여 명 중 5천여 명이 역병에 걸려 전투에 

큰 손실을 입었다. 이에 이순신 장군은 여제라는 

제를 드려 수군들의 안위를 살폈다. 1594년 4월 3일,

 1596년 5월 4일, 여제를 올린 기록이 난중일기에 

전해진다. 이외에 전란 중에도 여러 차례 제사를 지낸

 기록이 있는데, 그 제사상에는 꿀을 이용한 음식이

 올랐다고.  난중인데도 화려한 음식이 난중일기에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과연 난중일기엔 어떤

 귀한 음식이 기록돼 있으며, 장군은 어떤 음식을 

제사상에 올렸을까?


이순신 장군이 제사상에 올렸다는 귀한 꿀 음식을 

취재팀은 진주에서 만나볼 수 있었다. 진짜배기 볕이

 있다는 옛 지명 진양처럼 이곳 진주는 지리적인 

이유로 꽃이 많아 꿀도 많았다. 난중일기에는 꿀이 

들어간 유과와 약과를 제사상에 올렸다고 전해진다.

 밀가루 대신 쌀가루를 이용하여 꿀을 넣어 만든 

통영약과부터 공정이 하도 많아 14번 손이 가야 

완성되는 유과 만들기까지. 전쟁 중에도 간절한 

마음으로 군사들의 안위를 빌기 위해 제사를 드렸던

 이순신 장군의 다과 한 상을 만나본다.




이순신 장군의 소박한 백의종군 밥상


바다와 거리가 먼, 지리산 끝자락에 위치한 진주 

수곡면 원계마을이 있다. 이곳에 이순신 장군은 

왜 왔을까? 이순신 장군이 백의종군의 명을 받고 

권율 장군이 있는 합천으로 가던 중, 1597년 7월 

26일 이곳 원계마을 손경례 집에 머물렀다. 그런데

 원균이 칠전량 해전에서 대패하자 8월 3일 놀란 

선조는 이순신 장군에게 삼도수군통제사를 

재임명한다는 교지를 내린다. 그 교지를 받은 곳이

 바로 손경례의 집이다. 장군은 약 10일 동안 이곳

 원계마을에 머물며 왜적을 물리칠 대책을 

강구하였다고 한다.


원계마을에서 손경례의 자손, 손영모씨를 만났다.

 대대로 마을을 지킨 이곳 사람들은 어떤 음식을 

만들어 먹었을까? 맷돌에 갈아 만든 두부를 이용한

 연포국부터 통감자를 넣고 찐 감자보리밥, 들깨를 

솔솔 볶아 만든 머위대 들깨찜, 잉어 뱃속에 고사

리 넣어 만든 잉어찜까지. 

이 음식들 중에, 이순신 장군이 먹은 음식이 

난중일기에 나온다. 대표적으로 연포국과 보리밥이다.

 연포국하면 낙지 맑은 탕을 먼저 떠올리지만 조선의

 연포국은 부드러운 두부가 들어간 맑은 두부탕을 

의미한다. 소박했지만 정성이 깃든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 밥상을 진주 원계마을에서 만나보자.


제작 하얀소엔터테인먼트 / 연출 장현호 / 작가 한지원

방송일시 

2018년 5월 10일 목요일 저녁 7시 35분 ~ 8시 25분


[출처] kbs1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