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한 바퀴 195화

 

만복이 깃들다 한옥동네 – 전라북도 전주

 

전주의 부엌, 남부시장에서 만난 피순대 부부

전주 남부시장 피순대 부부의 인생국밥

 

옛날피순대

O1O-5022-0092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2길 63

지번 전동3가 2-242

 

 

24시간 영업
※ 전국 택배 가능

 

7,000원

순대국밥

8,000원

특국밥

8,000원

머리국밥

 

 

 

 

삼천동 막걸리 골목, 전주 한상차림 부부의 푸진 인심

막걸리 골목 한상차림

 

두여인생막걸리

063-221-0271

전북 전주시 완산구 거마산로 9

지번 삼천동1가 620-1

 

오후 1시 ~ 12시 (연중무휴)

 

20,000원

국내산 쌀막걸리

38,000원

커플상(2인기준)

68,000원

가족상(3~4인기준)

 

▶ 오목대
전북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55
 

▶ 전주 한옥마을
전북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99
 

▶ 서학동 예술마을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학동
 

▶ 은혜 휴게실 (쌍화탕)
063-288-5772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2길 63
 
오전 6시 ~ 오후 3시
 

▶ 전주 기접놀이
063-221-0505
기(旗)놀이 강좌 및 연수 전주 기접놀이전수관
전주시 완산구 세내로39
 

5대를 이은 합죽선 부자 
▶ 합죽선
O1O-9476-3304
전북 전주시 완산구 송정3길 19-7

※ 연락 후 방문 바랍니다

 

상호,정보,영업시간,가격,위치,전화번호,방송,tv,오늘

주소,가게,식당,어디 ,연락처,촬영지,장소,맛집

Contact Place Address )

 

@ 개인적으로 작성된 글이며

언급된 인물 업체 제품 방송 등과 관련이 없습니다

 

@ 위의 정보는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좋은 기운을 가진 동네는

좋은 사람들을 만든다.

예로부터 전주는 풍요의 고장이었다.

전국각지의 식재료 조달이 가능했던

위치적 특성 덕분에 맛이 발달했고

풍류를 벗 삼아 예인(藝人)들이 터를 잡았다.

조선왕조의 태 자리로

여러 역사 유산을 품어내기도 했다.

수많은 한옥들이 만들어낸 유려한 곡선처럼

전주는 이 모든 복된 것들을

21세기 이 시대까지 그대로 다 이어냈다.

이것이 지금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이 전주를 찾는 이유다.

조상 대대로 내려온 귀한 보물들을 얻고

그 가치를 갈고 닦아온 사람들에겐

넉넉한 인심과 감사할 줄 아는 마음이 있다.

195화 <동네한바퀴>에서는 가을을 닮아

받은 만큼 내어줄 줄 아는 이들이 사는 동네,

전주에서의 여정을 함께 한다.

 

▶ 조선왕조의 모태, 오목대에서 바라보는 전주 전경

 

한때 전주는 전라도 전 지역은 물론 제주도까지

관할했던 전라도의 실질적인 수도였다. 전주가

이토록 힘을 얻은 데엔 조선왕조의 발상지라는

큰 배경이 있다. 고려가 기울어져 가던

14세기 후반, 전주에서 나고 자란 태조 이성계는

왜구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고 귀경하던 중

일가친지를 찾아 전주에 들렀다. 금의환향의

기쁨을 큰 잔치로 베풀기 위해서였다.

이후 국위선양을 한 장군은 곧 한 나라의 임금이

되었고 자연히 그가 머물렀던 장소는 한 고을의

자랑이 됐다. 숱한 세월이 흘러, 오목대가 위치한

작은 언덕은 한옥마을 전경을 가장 잘 바라볼 수

있는 명소로 알려져 있다. 전주를 찾은 이만기는

동네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오목대에서

힘찬 첫 발걸음을 떼어본다.

 

▶ 한옥마을 50년 지기 이웃들과 전주8味 황포묵

 

만추의 한옥마을은 멋스럽다.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어진)를 모신 경기전부터 억겁의 시간을

이은 전동성당. 그 사이로 시대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거리의 풍경까지, 과연 전주를 상징하는

관광 명소답다. 하지만 사실 한옥마을은 오랫동안

평범한 주민들이 살아왔던 동네. 먹거리,

즐길 거리 가득한 큰 골목에서 딱 한 번만 꺾어져

들어가면 수십 년 이곳을 지킨 ‘진짜배기 전주’를

만날 수 있다. 한옥 600여 채가 옹기종기 모여

있는 한옥마을은 원래 일제강점기인

1910년 무렵, 도심을 점령하는 일본 상인들을

배격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당시 수많은

이들이 이곳에 터를 잡아 근방 일대에서도 이곳은

예나 지금이나 사람 그리울 일이 없었단다.

땅을 파면 맑은 샘물이 콸콸 쏟아지는 덕에

한옥마을 사람들은 집집마다 우물을 놓고

도둑 하나 없어 대문을 활짝 열고 살았다.

이웃들끼리 나누는 정은 당연지사. 한 오십 년,

외지에서 막 시집온 새댁 시절 친해진 한옥마을

오 총사 어머니는 그 시절 다 같이 만들어 먹던

황포묵을 생생히 기억한다. 황녹두로 만들어

노란빛을 띠는 황포묵은 전주 8미, 손은 많이

가도 여럿 푸지게 나눠먹기엔 이만한 게 없었다.

그날을 기억하며, 일흔을 훌쩍 넘긴 어머니들이

황포묵을 쑨다. 다 된 황포묵을 비빔밥에 올리며

어머니들이 말한다. “우리 다섯 다 비빔밥

비벼지듯 살아왔당게.” 낯선 동네에서 50년,

꼬박 부대끼며 하나가 된 어머니들이 잘 익은

감나무 아래에서 온기를 나눈다. 모두가 없이

살아도 대문 넘어 이웃집에만 오면

배고플 일 없던, 꼭 그 옛날 그 시절 같다.

 

 

 

 

▶ 전주의 부엌, 남부시장에서 만난 피순대 부부

 

맛 고장 전주의 별칭은 식재전주(食在全州).

밥걱정할 일 없다는 전주에서도 남부시장은 유

독 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1473년 만들어져

무려 500년의 역사를 이어온 남부시장은 과거

호남 최대의 물류 집산지. 완주, 김제, 익산,

군산 등 인근 각지에서 찾아온 장꾼들이

구름처럼 몰렸다는데. 늘 마음이 급해 끼니

때울 시간도 아깝도록 일했을 이들에게

한국형 패스트푸드 ‘시장표 국밥’은 맛과 속도,

포만감까지 다 채울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이었다.

그 유명한 남문시장 콩나물국밥이 탄생한 것도

바로 이때. 콩나물국밥이 지겨울 땐 양대 산맥,

피순대 국밥이 있으니 번갈아 가면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고. 그렇게 그 오랜 세월 이어온

국밥 골목은 이제 드문드문 시장 입구로,

인근 시내로 이동해 명맥만 유지할 정도다.

그래도 몇몇 개의 점포는 시장에서도 깊숙한

그 작은 골목을 지키고 있다는데. 이곳에서도

거의 유일하게 24시간 영업을 지속한다는

피순대국밥 부부. 올 5월, 큰 수술을 겪은

뒤에도 교대로 불을 밝히는 덴 이유가 있단다.

역사보다 깊은 맛, 맛보다 더 깊은 책임감이란

과연 무엇일까. 식지 않는 열정만큼 뜨거운

국밥을 끓이며, 힘닿는 날까지 남부시장을

떠날 수 없다는 한 부부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 도시락 편지를 나누는 서학동 예술마을의 가을

 

예향의 도시, 전주엔 서학동 예술마을이라는

이름의 작은 동네가 있다. 불과 10여 년 남짓 된

이 예술마을은 원래 ‘선생촌’이라 불리는 한

낙후된 골목이었다. 조용하고도 저렴한 방을

찾던 인근 학교 선생과 학생들이 떠나고 한동안

잠잠했던 동네에 활력을 불어넣은 건 어느

한 예술가 부부였다. 이들의 영향 때문일지 이후

수많은 예술가들이 이곳에 둥지를 틀었다. 감성이

남다르고 섬세한 예술가들에게 평범한 골목은

드넓도록 하얀 도화지. 특히 이들은 취미 하나 없이

같은 일상을 반복하는 원주민 어르신들의 삶에

눈길을 뒀다. 5년 전부터 예술가들이 가장 먼저

한 건 동네 어르신들을 초대해 다 같이 즐기는

파자마 파티, 그렇게 물꼬를 튼 손길은

‘도시락 편지’로 이어졌다. 가을 이맘때가 되면

도시락을 만들고 손 편지를 써 나누는 일은

생각 외로 선풍적인 반응이었단다. 이만기가

동네를 도는 날, 마침 날이 맞았던지 예술가들이

도시락 배달을 부탁한다. 낯선 동네에서 이만기는

헤매지 않고 배달을 성사시킬 수 있을까. TV에서

골목으로 나온 동네지기, 이만기를 만난

서학동 이웃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 전주 합죽선의 자부심, 부채 장인 부자(父子)

오래전부터 전주는 곧고 단단한 대나무가 많이

나는 곳이었다. 질 좋은 한지가 나고 양질의

대나무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건 부채의 산지가

되기 충분한 조건이었다. 조선시대 임금에게

진상할 부채를 만드는 선자청이 생긴 후 전국의

수많은 부채 장인들이 전주로 모였다.

‘가재미 마을’이라 불리는 부채공방촌에서

5대를 이은 합죽선 명가가 나온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그 명망을 이은 명장의 후손들은

가재미 마을이 아닌 삼천동 한 작은 빌라촌에서

살고 있다. 겨울을 앞두고 여름용 부채를 만들려나

싶지만 합죽선 작업은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이맘때가 한창 바쁠 시기. 10월에 베어낸

대나무를 가득 쌓아두고 가정집 옥상에서

작업하는 선자장 부자의 손이 쉴 틈 없다.

힘만큼 손재주에도 자신 있는 이만기가 호기롭게

합죽선 작업에 도전해본다. 전통 부채 중에서도

가장 어렵기로 손꼽히는 합죽선 작업은 생각만큼

잘 될 리 없고. 그래도 도전에 도전을 거듭하는

그의 발밑엔 애꿎은 대나무들만 쌓이는데.

합죽선 작업부터 다양한 종류의 부채들,

서로를 향한 부자의 뜨거운 애정까지

만날 수 있는 합죽선 공방을 엿본다.

 

▶ 추수를 앞두고,

한 해 농사를 자축하는 전주기접놀이

 

삼천동 아파트 단지를 걷다 보니 곳곳에 농경지가

보인다. 노랗게 벼가 익은 논 사이를 걸으니

듬성듬성 이미 추수가 끝난 공간도 보인다.

논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 아파트촌 사이로

풍악 소리가 들린다. 그 소리에 이끌려 들어가

보니 모를 심고 추수해 상머슴을 뽑아 가마를

태우고 농민들의 노고를 자축하는 뜻이 있는

기접놀이 연습이 한창이다. 벼농사 끝나기

직전인 이맘때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깃발로

물꼬의 우선권을 잡은 후 대동단결하자는

의미를 지닌 기접놀이는 현재, 실제 농민이거나

한평생 농사를 지었던 어르신들이 직접 참여하고

보존, 전승하고 있다. 15살 나이부터 농악놀이에

따라다니던 한 어르신은 95세인 지금까지도

직접 기접놀이에 참여해 그 의미를 전하고 있다.

이만기는 기접놀이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기수가 되어 직접 마을의 깃발을 들어보는데.

논농사 손 터는 날, 그간의 고생을 씻어내는

어르신들과 함께 흥 나도록 어우러져 본다.

 

▶ 삼천동 막걸리 골목,

전주 한상차림 부부의 푸진 인심

 

막걸리 가게가 한데 모여 있어 막걸리 골목이라고

불리는 곳을 걷던 이만기는 막걸리 궤를 잔뜩

쌓아놓은 한 가게를 발견한다. 참새 방앗간 못

지나치듯, 이만기가 가게로 들어간다.

막걸리 한 주전자에 기본 찬이 20가지, 여기에

주전자를 추가할 때마다 총 40여 가지의 찬이

끝도 없이 나오는 막걸리 골목의 인심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이어 사장님 부부와 함께 술잔을

기울이며 얘기를 나누는데, 부지런함을 무기 삼아

매일 아침 7시 남부시장으로 출근하여 직접

재료를 사고 또 직접 음식을 한다는 부부의

정성은 들을수록 대단하다. 거기에 무조건

퍼주는 게 원칙. 다양하고 양 많은 찬에 남겨지는

음식들이 마음 아프기도 하지만 그 음식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부부는 아낌없이 상을 채운다.

2월 28일 생일까지 똑 닮은 부부는 어느덧

20년째, 막걸리 골목을 지키며 함께 고생하고

웃는다. 이만기는 하루도 쉬지 않고 바쁘게

일해 왔지만 항상 가게를 찾아주는

손님들에게 감사해하며 기운 넘치게

지내는 부부에게 인생을 배운다.

 

받은 것들에 감사할 줄 알고, 겸허한 마음으로

가진 것을 지켜낼 줄 아는 사람들이 사는 곳.

전라북도 전주 편은 11월 12일 저녁 7시 10분

<동네 한 바퀴> [195화 만복이 깃들다

한옥동네 - 전라북도 전주] 편에서 공개된다.

 

방송일시 2022년 11월 12일 (토) 오후 07:10

 

[출처] kbs , 네이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