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극장 미리보기

 

그 바다에 94세 청년이 산다

 

‘인천 송도’ 하면 십중팔구는

아파트 숲으로 둘러싸인 신도시를 떠올릴 것이다.

바다에 접해있어도

어부가 있다고는 생각지 못할 터.

그런데, 여전히 송도 앞바다를 지키는 어부가 있다.

올해 94세의 정덕성 옹- 70년 가까이

송도 앞바다에서 조개 줍고, 고기를 잡아 왔다.

사리 때만 되면 스티로폼 쪽배와 삿대에 의지해서

바다로 나가는데 묵직한 그물을 힘차게

털어 낼 땐 청년이 따로 없다.

숨 쉬는 그날까지 어부로 살겠다는, 정덕성 어르신.

아흔넷의 청년에게 바다는 어떤 의미일까

 

 

 

 

황해도 옹진에서 태어나 스물하나에

맨몸으로 피난 왔던 실향민 청년,

전쟁이 끝난 후, 일꾼으로 모내기하러

갔던 집에서 아내를 소개받았고

삼 남매를 낳아 오순도순 정을 쌓으며 살아왔다.

바다에서도 함께 손발을 맞추던

의좋은 짝꿍이었는데, 지난해 5월, 아내는

10년 전에 앓았던 담도암이 재발 되어

손쓸 겨를도 없이 세상을 떠났다.

모친상을 치르러 온 딸 춘경(61) 씨,

맥없이 앉아 계신 아버지를 지켜보다

결국 한집살이를 결심했다.

 

이틀 만에 아버지가 계신 송도로 온 춘경 씨,

아버지가 경운기로 한 시간가량을 가던

바다를 이제는 차로 모시고

함께 물에까지 들어가 그물을 걷는다.

환갑이 되어서야 아버지의 바다를 온몸으로

알아가는 중인데. 가만 쉬는 법이 없는

아버지 때문에 덩달아 숨 돌릴 틈이 없다.

항상 시간에 쫓기는 바다 일, 종종걸음을 쳐서

고기를 잡아 오면 식사를 마치자마자

텃밭으로 향하는 아버지. 좀체 일을 손에서

놓지 못하시니 마음과 달리, 자꾸 잔소리가 나간다.

 

한 달에 보름, 고기를 잡는 사리 때가 끝나면,

덕성 할아버지가 꼭 들르는 곳이 있다.

바로 아내가 있는 인천의 공원묘지.

생전에 그랬던 것처럼 아내와 살뜰히

인사를 나누고 나면,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다.

그다음에 가야 할 곳은 저 멀리

이북 땅이 보이는 임진각.

그곳에 가 채울 길 없는 그리움을 달래본다.

“통일만 되면 경운기 끌고 고향으로 갈 거라고”

고향 바로 아래 있는 송도에 터를 잡았는데,

어느새 73년이 흘렀다. 피난을 나올 때도

배를 타고 지금의 바다를 건너왔는데….

바다는 고향으로 향하는 마음의 길이자,

아내와 함께 청춘을 바친 기억의 창고가 되었다.

그렇게 눈물과 웃음이 녹아있는 그 바다에는,

94세의 청년이 산다.

 

 

 

 

# 인천 송도 앞바다엔 94세 청년 어부가 있다

 

갯벌을 막아 도시를 지으면서 멀찍이 밀려난,

인천 송도의 바다. 그곳에는 아직도 아흔넷의

정덕성 할아버지가 고기를 잡는다.

병풍처럼 펼쳐진 아파트 숲을 등에 지고

묵직한 그물을 거뜬하게 들어 올리는 94세의 어부.

멀리서 움직임만 지켜본다면,

청년이라고 해도 믿을 지경이다.

 

그렇게 고기를 잡아와서 집으로 향하면,

반색을 하는 사람들.

날이 추워지면 맛이 드는 망둥이를 사기 위해

물때에 맞춰 기다렸던 손님들이다.

오늘 잡은 물고기를 펼쳐놓고,

즉석에서 열리는 번개 어시장~

그런데, 어째 주인보다 손님들의 마음이 더 급하다.

바닥에 주저앉아 고기 분류를 돕고,

옆에서 비닐봉지까지 벌려 준다.

손님들이 이렇게 애가 타는 이유는

잡히는 망둥이 양이 적기 때문.

 

한 트럭으로 잡아서 일본으로 수출까지 했던

망둥이건만 ‘화수분’이던 갯벌이 간척되면서,

그 양이 많이 줄었다. 물건이 많이 들어야

힘이 들어도 신나게 일을 할 텐데….

자식들은 이제 바다 일을 그만할 때가 된 거라며

아버지를 말려 본다. 하지만, “숨 쉬는 그날까지

어부로 살겠다”라는 ‘94세의 바다 사나이’

정덕성 할아버지가 바다를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실향민 청년에게 집이 되어준 아내

 

황해도 옹진에서 태어나 맨몸으로 피난 왔던

실향민 청년, 살림 솜씨 좋고, 마음씨 고운

아가씨를 만나 송도에 뿌리내릴 수 있었다.

늘 머리맡에 간식을 챙겨주고, 남편이 잠들 때까지

기다렸다가 방의 불을 꺼주고 나서야

잠이 들던 다정한 사람. 아내는 그렇게 전쟁으로

고향을 잃었던, 외로운 청년의 집이 되어주었다.

 

그런데 지난해 5월, 10년 전에 앓았던 담도암이

재발하면서 허망하게 세상을 떠난 아내.

힘들게 바다 일을 하고 돌아와도 그 얼굴만 보면

고단함이 씻기는 듯했는데….

무엇으로도 허전함을 채울 길이 없어,

한 달에 보름, 고기를 잡는 사리가 끝나면

꼭 아내에게 인사를 하러 들린다.

“잘 지냈어”하고 안부를 물으며 그리움을 달래본다.

 

 

 

 

모친상을 치르자마자 돌아온 하나뿐인 딸, 춘경 씨.

스스로 “월급 안 받는 가사도우미”를

자처하며 아버지 곁을 지켜보지만,

어머니의 빈자리를 채우기란 쉽지 않다.

음식 솜씨가 좋아 잔칫집마다 서로 모셔가려 했던

어머니. 그러니 아버지에게 아침저녁으로

아무리 맛난 찬을 해드려도

맛있다는 소리 듣는 게 하늘의 별 따기다.

 

# 환갑이 되어서야 아버지의 바다를 알아간다

 

바다 일 그만하시라고 아무리 잔소리를 해도,

아버지에겐 소 귀에 경 읽기 그러니 결국 아버지의

보조가 됐지만, 사실 어릴 때 바다는

그저 놀이터였다. 또래 친구들은 바다 다니며

조개 캐고 다녀도 아버지는 자식들에게

바다 일만큼은 절대 안 시키셨기 때문.

 

그래서 처음에 왔을 때도, 바다 일에 발을 담글

생각은 없었다. 맨몸으로 힘들게 바다 일하시는

아버지가 걱정되어, 둑에만 나가봤던 것이

그 시작. 그러다 옆 구역 어르신이 같이 들어가서

고기를 골라주기만 해도 한결 수월하실 거라고

귀띔을 해주셨는데. 어느 날, 아버지가

고기 바구니를 짊어지고 나오다가

‘아차’하는 사이, 미끄러진 걸 보고는

도저히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밀물과 썰물에 맞춰야 해서 언제나 시간에 쫓기는

바다 일. 아버지는 잽싸게 이리저리

다니시는데, 춘경 씨는 아직 초보티가 팍팍 난다.

아버지를 돕겠다고 따라 들어갔지만,

바다 일이 힘들어 밤마다 앓기를 여러 번

그렇게 환갑이 되어서야 아버지의 바다가

얼마나 고된 것인지 알게 되었다.

 

# "통일 되면 경운기 끌고 고향에 돌아가리라"

 

물이 빠지는 사리 때가 끝나고 조금이 찾아오자

미루어 두었던 일들을 해나가는 부녀.

추워질 다음 사리를 대비해 방한 물옷을 장만하고,

부산에 계신 이모네에 갈 채비를 한다.

얼려두었던 꽃게와 손질한 생선들을

한가득 안고 달려간 부산. 덕성 할아버지는

처형과 함께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를 추억해본다.

 

그리고 또 가야 할 곳은,

저 멀리 이북 땅이 보이는 임진각,

스물하나에 떠나온 고향 마을이 아직 눈에 선하다.

아버지가 깨를 털던 마당, 친구들과 물장구치던

바다까지 어느 하나도 잊지 못했다.

“통일만 되면 경운기 끌고 고향으로 갈 거라고”

고향 바로 아래 있는 송도에 터를 잡았는데,

어느새 73년이 흘렀다.

 

피난을 나올 때도 배를 타고, 지

금의 바다를 건너왔는데….

바다는 고향으로 향하는 마음의 길이자

아내와 함께 청춘을 바친 기억의 창고가 되었다.

그렇게 눈물과 웃음이 녹아있는 송도의 바다,

그 바다에는 아흔넷, 청년이 살고 있다.

 

1부 줄거리

 

인천 송도에는 아흔넷의 청년이 산다.

바다에만 오면 힘이 솟는 정덕성 할아버지.

지난해부터 함께 사는 딸, 춘경 씨는

환갑의 나이에 아버지를 따라 어부가 되었는데

 

어느 때보다 고기가 많이 든 날,

생선 바구니를 짊어지고 가파른 방파제를 오르던

덕성 할아버지가 그만 중심을 잃고 만다.

 

연출 : 박정규

글 : 김수진

조연출 : 홍주홍

취재작가 : 윤현정

 

방송매체 : KBS1-TV

보도자료 문의 : 윤현정 취재작가 (02-782-8222)

 

방송일시: 10월 24일(월) 10월 25일 10월 26일

10월 27일 10월 28일(금) 오전 7:50~8:25

5438회 5439회 5440회 5441회 5442회

 

 

[출처] kbs

 

반응형

+ Recent posts